공짜여서 더 좋았던 오페라^^
다다미 방으로 꾸며진 무대, 스틸컷 사진 혹은 수채화같은 뒷배경, 피아노 두대의 음향.
심플한 동선과 심플한 구성이 약간은 지루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집중할 수 있게 했다.
나비부인은 내용이 슬펐다.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데 인생을 다 마치고, 결국 사랑이 돌아올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죽음을 택하는 게이샤의 이야기 였다.
사랑을 할때는 인생의 전부는 사랑이다. 아닐 수도 있다면 사랑이 아니겠지. (근데, 내가 언제부터 이렇게 됐지?^^)
<압구정 장천 아트홀, 깔끔하고 조용했다. 흔히 말하는 문화의 중심지에서 느껴야 하는 복잡함이 없어서 다음에 또 가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아리아는 그다지 훌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가슴이 뭉클하지 않았으니까. 이별의 정한을 다 표현하지는 못했으니까.
그러나 전체적인 조화가 비교적 훌륭했고, 시각적인 효과들이 더 돋보였던 것 같다.
보던 중,
기억을 더듬거리며 찾아낸 유사한 예술공연이 떠올랐다.
대학때 월간미술 편집장인 이건수 교수님이 영상미학이라는 수업
종강 때 올린 공연에 대한 기억이 그것이다.
그 분의 공연은 회화와 음악과 내레이션과 연기가 크로스오버 내지는 퓨젼된 것이었다.
공연의 스토리를 장식하는 것은 회화가 스틸 것으로 교체가 되고 그에 맞게 내레이션이 그 내용을 이끌어 갔다. 오히려, 무대에 오른 사람들은 배경이 되거나 지나치는 행인일뿐 그 안에는 주인공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다 음악이 흐르면 배경 속 모든 배우들은 움직이거나 느리게 걷거나 춤을 추는 것이었다. 배경이 움직이는 것이었다.
그 때 공연이 참 신선하다고 생각했는데,
한 5~6년은 지난 것 같은데, 그때보다는 떨어지지만 조금은 유사한 컨셉으로 오페라를 공연하고 있었다.
그때 그 공연은 참 다시 한번 보고 싶다.
내 감각이 그때만큼 예민하지 않아서 느낄이 덜한 것일수도 있겠다.
그나저나, 그때 그 사람들은 어디서 뭘하고 살려나?
'말하기 >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아주르아스마르] 빛과 색으로 빚은 환상동화, 아주르아스마르 & 프린스앤프린세스 (14) | 2007.10.07 |
---|---|
[치유 영화] 내곁에 있어줘서 고마운, 카모메식당 & Be with me (10) | 2007.09.29 |
화려한 휴가, 그 타는 목마름의 기억 (2) | 2007.07.29 |
미필적 고의에 의한 여름휴가 (0) | 2007.07.17 |
사람과 삶에 대한 속깊은 시선, 밀양 (2) | 200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