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화가, 고흐의 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시립미술관에 다녀왔어요. 이것도 한 3 주 됐네요.;;;
고흐는 불멸의 화가라는 표현에 걸맞게 전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화가 중 한 명입니다.
특히, 고흐에 대한 애정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더 각별하다네요.
강렬한 그 그림 속에 담긴 그의 삶은 더 강렬했기 때문은 아닐까요?
저는 고흐하면 자연의 화가라는 표현을 쓰고 싶어요.
고흐는 최고의 예술이란 자연에 가장 가까워지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자연을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서 빛에 의한 인상적인 순간을 그림화했다고 봅니다.
이번 전시에는 고흐의 유명한 작품들 보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많았어요.
특히, 고흐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해바라기를 볼 수 없어 살짝 아쉬움이 남더군요.
그런데, 한편으로 그동안 우리들에게 잘 소개가 안되었던 작품들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지요.
프랑스에서 작품활동을 할 당시 모네와 같은 점묘화에 영향을 받은 작품이랄지
일본 화풍에 영향을 받았던 작품들도 전시 되었답니다.
그리고, 전시를 작품시기별로 잘 정리해 놓아서 보기 편했어요.
프랑스에서 활동기, 네덜란드 활동기, 이 후 정신병원에서의 활동기
(저는 정신병원에서 그린 작품들은 보지 못했어요. 3층 전시실에 전시 돼있었는데,
관이 2개로 나눠져있었는데 드로잉관이 전부인줄 착각했지 뭡니까?^^)
그럼 그림 감상 좀 하시렵니까?

<sorrow, 1882> 고흐의 연인이었던 거리의 여자 시엔을 모델로 그린 비교적 초기 드로잉입니다. 초기에 그린 이 작품은 고흐의 인생 전체를 말해주는 그림이 돼 버렸다고 하네요. 제목 그대로 Sorrow.

<아를르의 노란집,1888> 노란집의 오른 채에 세 들었던 고흐는 이 집에서 1888년 9월 부터 살기 시작해 채 반년도 살지 못했답니다. 그러나 고흐는 이곳을 고갱과 같은 화가들과의 아지트로 만들고자 했을만큼 꿈꾸던 자신만의 공간이었습니다. 고갱과의 다툼으로 고흐는 이곳에서 자신의 귀를 자르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정신병원에서도 고흐는 이 집을 무척 그리워했답니다. 자기만의 방이었던 이 곳을 그는 세 번이나 그렸을 만큼요.

<뒤집힌 게, 1889년 1월>아를의 정신 병원에서 퇴원한 후 그림에 대한 느낌을 되살리기위해 그린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반 고흐가 이시기 일본의 잡지에 실린 목판화를 보고 영감을 받아 그린 작품이랍니다. 반 고흐는 늘 일본 화가들의 데생기법과 세부를 상세히 묘사하는 그들의 재능을 동경 해 해부학적으로 자세히 묘사 하고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붉은색과 녹색의 대비가 고흐의 불안한 심경이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압생트가 담긴 잔과 술병, 1887년 2-3월> 압생트는 19세기 프랑스에서 즐겨 마시던 술로, 특히 예술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답니다. 값은 싼 반면 도수가 높아 빈센트 반 고흐 역시 압생트를 무척 즐겨 마셨답니다.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거의 알코올 중독 상태였다”고 털어놓기도 했다는 군요. 이 작품은 일본 판화의 영향을 받은 초기의 작품 중 하나로 파리에 머무는 동안 제작된 작품으로 날카로운 사선 구도 역시 일본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합니다.

<씨뿌리는 사람, 1881년.> 평소 고흐는 밀레를 존경했고 그래서 밀레의 그림 중 몇점을 고흐의 방식으로 다시 그리기도 했지요. 밀레의 원작보다 음영이 더 강조되어 있는 것이 고희 작품의 특징. 고흐는 주로 밭갈이나 감자 수확, 아니면 단순히 인물의 움직임을 습작한 것 등에서 땅 파기를 주제로 작품을 많이 했습니다. 가난한 서민들의 노동과 그 애환을 담고자 했다고 합니다.
'말하기 > exhib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흐를 좋아하세요? (18) | 2008.01.15 |
---|
<뒤집힌 게>는 처음 봅니다. 비교적 생생한 이미지의 정물화로군요.
저도 전시회에 가서 처음 본 그림이예요..
일본의 세밀한 화풍에 영향을 받았다네요..^^
당시 유럽 화단에 일본류가 꽤 거세게 몰아쳤다더군요.
반 고흐도 그 영향을 받아서 일본화를 모사해서 그린
작품이 있을 정도니까요. <감자 먹는 사람들>과 같은
초기 작품과 달리 우리에게 익숙한 화려한 색채의 작품들은
모두 일본화와 그외 여러 미술품들의 영향을 받은 이후의
것들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전시회에 걸린 초기작들이 정말 고흐의 작품이라는 생각이 안들정도로 우리에게 익숙한 고흐만의 화풍이 아니었어요. 좀 생소하기도 하더라구요. 붓터치가 가벼웠고, 또 테두리 윤곽선을 얇게 그렸더라구요. 그땐 그랬나 봐요.^^
씨뿌리는 사람.
아주 강열한 인상을 심어주네요. 해가 너무 밝아서 그런지 농부가 고개를 피하네요.
다른 작품도 좋지만 씨뿌리는 사람의 인상이 너무 강열해서 자꾸 눈이 가네요.
그 당시에 고흐는 씨뿌리는 모습을 저렇게 느낀거라고 생각하니 왠지 그 사람의 과거의 느낌이 전해지네요.
씨뿌리는 사람을 보니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이중섭 화백의 '황소'라는 이미지가 갑자기 생각나네요. 고흐는 자연의 역동성? 이중섭은 소의 역동성?ㅋㅋㅋ 미술을 잘 모르지만 좋네요.
좋은 글 읽게되어 감사합니다.^^
나중에 저는 이중섭 화백을 다룬 포스팅 하나 써야겠네요~ㅋ
블로그에 글을 쓰면 쓸 수록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것 같아요.^^ㅋ
와우! 정말 좋은 지적입니다. 이중섭과 고흐.. 그러고보면 우리 민족은 강렬한 것을 좋아하나봐요. 역동성이 느껴지는.^^
씨뿌리는 사람이라는 작품의 효시는 밀레의 씨뿌리는 사람인데 우리에게는 비교적 친숙한 작품이지요.
저는 요즘 부쩍 밀레의 그림에 대한 책을 보고싶다는 생각을해요. 만종과 같은 작품의 섬세함도 또 평화로운 느낌도 나고 노동과 자연에 대한 겸손함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물론, 실제 밀레의 그림은 농부들의 삶의 고단함과 슬픔을 담고 있다고는 하는데요..^^
T.B.님, 오랫만입니다^^
와~ 미술을 많이 좋아하시나 봐요~^^ 저도 관심은 많은데 많이 접해보지 못해서~^^ㅋ
아! 요새 딴짓을 하느라 블로그에 많이 신경을 못써서 자주 못들어왔어요~
이젠 다시 틈틈이 자주 하려고요~^^
스미래님 블로그에 오면 왠지모르게 편해서 좋아요~
감수성이 풍부하신 것 같아서 저또한 많이 생각하게 만드는 블로그란 느낌이 드네요~^^
저도 요즘 블로깅이 좀 뜸했어요.;;여전히 블로깅에 열심이신 분들의 그 원동력이 참 신기하고 대단하게만 느껴져요^^
제 블로그가 그런 편안한 느낌을 준다니, 말씀만으로도 기분이 마구 좋아집니다.^^
자주 놀러오세요.
역시 고흐 그림은 이해하기가 어려운것 같아요...ㅠㅠ; 역시 예술쪽으로는 재능이 너무 없는가봐요...;
예술쪽 재능은 아마 제가 더 없을거예요.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 참 다행입니다.^^
싸이프러스가 있는 시골길야경이 제일 인상적이더군요. 원래 좋아했던 화가라 무척 반가운 전시회였네요..제겐..
fallen angel님, 반갑습니다.^^
저도 고등학교때 고흐에 빠져있었던 기억이 있어서,
이번 전시회 상당히 기다리고 있었답니다.
저도 전시회 참 잘 보았고, 고흐의 삶에 대해 어느정도는 관조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나이가 되었더군요.
어릴땐, 왜? 왜 그렇게 불행해야하지?라는 답 안나오는 생각들때문에 가슴이 아프게 느껴졌었거든요.
사춘기때의 오바죠.ㅎㅎ
트랙백 걸어놓으신 것 보고 놀러왔습니다.
음. 글을 읽으니 어째 저는 너무 가볍게 휙휙 그림을 감상하고 돌아와버린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글 잘 읽고 갑니다~
키에님, 안녕하세요.

제가 댓글을 이제야 봤군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키에님은 사진으로 정리를 참 잘하셨던데요.
저도 그냥 가볍게 보고왔답니다.놀러갈께요.
스미레님, 반가웠구요, 댓글 따라 왔다가 좋은 감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종종 소통하며 지내요.
저도 고흐 그림들을 소개할 계획인데요, 우선 광고와 관련한 고흐 그림들을 주제로 올린 글이 있어서 글 엮어 놓고 갑니다.
기온이 많이 떨어진대지요. 무장하시고, 마음만은 따듯한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예, 초하님.
밀레 책을 좀 하보려던 참인데, 이렇게 딱 맞춰 연결이 되어서 너무 기쁩니다.^^
좋은 글 많이 읽으러 갈께요.
블코에 글 엮어주셔서 다시 한번 더 감상하고... 감사합니다~~
예, 초하님.
감기 얼른 나으세요.